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절기 |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

오늘 2월 4일은 우리나라 전통 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인 입춘입니다.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날로,추운 겨울이 점점 끝나가고 따뜻한 봄이 다가오는 희망과 기대를 안겨주는 날이에요. 

 

이번 입춘은 유독 기온이 높고 햇볕이 따스해 포근한 날이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봄이 오는구나' 싶었습니다. 

매화나무 꽃
매화

 

입춘이란?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는 절기이며, 양력으로는 보통 2월 3일과 5일 사이에 해당합니다. 음력으로는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에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재봉춘()이라 합니다. 그리고 태양의 황경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된다고 하죠. 

 

입춘의 의미와 중요성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는 첫째 절기이기 때문에 농사 일정과 농경 사상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입춘을 맞이하는 날씨와 기후를 예측하여 농사 일정을 계획하거나, 작물의 탈봄과 생육기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입춘이 시작과 맞닿아 있어서 관련된 여러 미신이나 풍습들도 있는데요. 입춘날 보리뿌리를 캐어서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거나, 입춘날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 가장 먼저 튀어나오는 곡식으로 그 해 풍작일 곡식을 점치거나, 입춘날의 날씨로 그해 풍흉을 점치기도 합니다. 

 

입춘날 입춘축을 써서 사방에 붙이면 그해 만사가 대길하다거나, 이날 망치질을 하면 불운이 닥친다거나, 이날 집안의 물건을 누군가에게 내어주면 그해 내내 재물이 밖으로 나가게 된다는 미신도 있습니다. 

 

이날 새알심을 넣지 않은 팥죽을 끓여 먹는 곳도 있고, 보리밥을 해먹는 곳도 있고, 무를 먹으면 늙지 않는다고 하여 무를 먹는 지방도 있으며, 잡곡밥은 먹지 않고 흰쌀밥만 먹는 곳도 있습니다. 

 

입춘축

입춘날 입춘시에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번 하는것보다 낫다고 합니다. 그만큼 입춘축을 붙이는 것만으로도 잡귀를 쫓고 좋은 기운을 들이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도시나 시골 할 것 없이 대문이나 문설주에 입춘축을 써서 붙이는 곳들이 많습니다.

 

요즘 도시에서는 입춘축을 잘 모르거나 이런 행사가 많이 사라졌다고는 해도, 가까운 북촌문화센터부터해서 곳곳에서 오늘 입춘축을 써서 나눠주는 행사를 한 곳도 많습니다. 

 

입춘축을 쓰는 종이는 글자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가로 15센티미터 내외, 세로 70센티미터 내외의 한지를 두 장 마련하여 쓰는 곳이 일반적입니다. 

 

입춘축에 주로 쓰는 것은 '입춘대길 건양다경( )', '우순풍조 시화년풍(調 )', '개문만복래 소지황금출( )' 등이 있다. 입춘축을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도 달라진다. 

 

-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오는 봄과 같이,

또 언 땅을 견디고 올라오는 새싹같이, 

2024년 모두 좋은 기운을 받아 하시고자 하는 일들이 잘 되시길 기원합니다.😊

뚜렷이 하시고자 하는일이 없으시더라도, 건강하시고 즐거운 일들이 올 한 해 가득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