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절기┃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

올해는 이상하게 봄의 절기마다 눈이 오거나 날씨가 더 추워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인 춘분날인데, 갑자기 꽃샘추위가 찾아왔죠. 그래도 이 추위가 지나가면 완연한 봄이 다가올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춘분이란?

춘분은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이고, 양력 3월 21일이고 윤년인 경우에는 3월 20일입니다. 이날은 음양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반반인 날이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추위와 더위가 같습니다. 그래서 춘분이 지나면 낮의 길이가 밤보다 길어집니다. '해가 길어졌네?' 싶으면 춘분이 지난 거죠. 

 

어제부터 바람이 굉장히 심해졌는데, 예로부터 이때쯤 바람이 많이 부는 일이 많았는지 이와 관련된 속담도 있습니다. '춘분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가 대표적이죠. 

 

 

춘분 풍습

춘분 무렵부터는 본격적으로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합니다. '춘분 즈음에 하루 논밭을 갈지 않으면 일 년 내내 배가 고프다.'라고 할 정도로 가장 추운 동네마저 땅이 녹기 시작하는 시기가 되었으니 농사를 본격적으로 해야 충분히 수확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춘분에는 봄보리를 갈고, 봄나물을 캐먹고, 담을 고쳐 짓기도 합니다. 봄을 맞아 집도 보수하고 농사 준비도 하며, 향긋한 봄나물로 몸도 깨우고 힘을 얻는 것이죠. 

 

고려 시대나 조선시대 때는 이때 빙실의 얼음을 꺼내기 전에 '사한제'라는 제사를 올렸다고 합니다. 고려 시대 의종 때 상정한 의식으로 맹동과 입춘 때 얼음을 저장하거나 춘분에 얼음을 꺼낼 때 드리는 제사입니다. 

 

그리고 이날 날씨로 그해 농사에 대한 점을 치기도 했습니다. 춘분에 비가 오면 병자가 드물다고도 하고, 이날은 어두워 해가 보이지 않으면 좋지만 해가 뜰 때 정동 쪽에 푸른 구름 기운이 있으면 보리에 적당하여 보리 풍년이 든다고 합니다. 만약 청명하고 구름이 없으면 만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열병이 많다고도 합니다. 또한 동풍이 불면 보리 풍년이 들며, 서풍이 불면 보리가 귀하고, 남풍이 불면 오월 전에는 물이 많은데 오월 이후에는 가물어지고, 북풍이 불면 쌀이 귀해진다고 믿었다고 합니다. 

 

구름이 많고 바람이 많이 부는 꽃샘추위가 있던 춘분이지만, 산수유가 피고 봄꽃들의 꽃 몽우리가 맺히기 시작하는 게 보이니, 이 바람이 지나가면 기다리던 따뜻한 봄이 올 것 같습니다. 곧 있으면 따뜻하게 봄나들이하기 좋은 계절이 오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