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전통명절┃오곡밥과 묵은 나물을 먹는 [정월대보름]

새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정월대보름날 하필 날이 좋지 않아 보름달을 볼 수 없는 게 굉장히 아쉬운 날입니다. 그렇다면 정월대보름은 어떤 날일까요?

 

정월대보름이란?

정월대보름은 한 해의 첫 보름이자 보름달이 뜬는 날로 음력 1월 15일입니다. 이 명절은 달이 가장 밝게 떠오르는 날로 고려시대 때부터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고 가까운 이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달맞이를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나, 원래는 설날보다도 더 성대하게 지내던 전톨 명절입니다. 설날부터 대보름까지는 성대한 축제일이었으며, 이때는 빚 독촉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아주 옛날에는 정월대보름 이튿날이 진정한 새해 첫날이 아니었냐는 추측도 있습니다. 

 

 

 

정월대보름의 풍습

여러 지방에서 기원제나 굿을 하기도 하고 달집 태우기, 쥐불놀이, 연날리기, 소원등 날리기, 윷놀이나 줄다리기등을 합니다. 부산에서는 원령기원제를 지내고 달집 태우기를 하고, 전남 순천에서는 추모제를 지낸 후 장승·솟대 세우기와 함께 당산제, 줄다리기, 떡국 나누기를 했습니다. 

 

부럼 깨기라는 풍습도 있는데, 아침 일찍 한해의 만사혈통과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부럼을 나이수만큼 깨물어 먹는 것입니다.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빌어야 하는데요. 실제로 견과류에는 풍부한 영양소가 있고 소량으로도 높은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어서, 건강을 위한 조상님들의 지혜가 깃들어 있는 풍습 같습니다. 

 

또 재미있는 풍습 하나는 대보름날에는 개에게 먹이를 주지 않고 하루 굶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 날 개에게 먹이를 주면 여름철에 파리가 많이 꼬이고 개가 메마르다고 여겨서 그런 건데요. 이런 풍습에서 파생된 속담인 "개 보름 쇠듯"도 즐거운 명절이나 잔칫날 혼자만 즐기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속담입니다. 

 

 

정월대보름 음식

정월대보름에 먹는 가장 대표적인 요리 중 하나는 오곡밥입니다. 찹쌀, 기장, 수수, 서리태, 적두를 섞은 밥인데, 과거 가을 추수 때 가장 잘자라던 곡식들을 모아 한 밥공기에 담았더니 다섯 가지의 곡식이 있었다는데서 유래했습니다. 

 

그리고 묵은나물도 먹는데요. 박, 버섯, 콩, 순무, 무잎, 오이, 가지껍질 등 보통 열아홉 가지 정도를 준비한다고 하는데, 충분치 않다면 세가자 정도로 간소화하기도 합니다. 여름에 더위를 타지 말라고 이런 나물들을 먹었다고 합니다. 

 

정월대보름에도 팥죽을 먹기도합니다. 동지때와 유사하게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먹는 것이며, 오곡밥을 만들 때 넣는 팥과 병행해서 만들 수 있습니다. 

 

-

저는 오늘 많은 나물들과 오곡밥, 냉이된장국에 갈비까지 먹었는데요. 모두 오곡밥은 챙겨드셨을까요? 

비록 날이 흐려 보름달을 보지 못했다고 해도, 한해동안 건강하셨으면 좋겠습니다.